CG Study - 프로그램 공부

라이트 모빌리티에 대해서 [Light Mobility]

Simplex_J 2018. 12. 2. 20:32

Unreal Engine에서 라이트 모빌리티 Mobility 는 3가지가 있습니다.



_ 스태틱  Static
_ 스테이셔너리  Stationary
_ 무버블  Movable


일단 스태틱의 특징에 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!



▲ 디테일 패널의 트랜스폼 - 모빌리티의 스태틱 설정.



스태틱은 변화하지 않는, 정적인 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.


특징으로는

① 라이트매스를 사용해 조명과 그림자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쳐인 라이트 맵을 렌더링.


② 동적 오브젝트에 빛을 적용하거나 그림자 투영 불가능.


③ 라이트 액터의 광원 반경 Radius 속성을 변경해 정적 그림자 가장자리의 부드러운 정도를 조절 가능.

(단, 라이트매스를 활용해 라이팅을 빌드해야 해당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음.)


④ 라이트 수에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.


⑤ 스페큘러 specular 하이라이트에 영향을 주지 않음.




다음으로는 스테이셔너리!



▲ 디테일 패널의 트랜스폼 - 모빌리티의 스테이셔너리 설정.



스테이셔너리는 스태틱과 비슷하게 움직이지 않는, 고정된 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.
그러나 특징에서는 차이가 있습니다.


① 정적 조명을 사용하는 시각화를 구성함에 있어서 햇빛을 구성.


② 정적 오브젝트와 동적 오브젝트에 라이트를 비추고 그림자 투영 가능.

(스태틱과 무버블 사이에 위치하니 두 가지의 장점을 다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.
단, 장점이 있는 대신 조건이 존재합니다.)


③ 각 메시는 한 번에 최대 4개의 스테이셔너리 라이트 조명만 받을 수 있다.
(이게 바로 그 조건. 5번째 라이트부터는 무버블 라이트로 전환되어 성능이 크게 저하됩니다.)


④ 스페큘러 하이라이트에 영향을 줄 수 있다.


⑤ 라이팅 빌드에 영향을 받지않고 실시간으로 속성과 설정이 가능하다.




보이시나요? 메시가 저렇게 스테이셔너리로 모빌리티가 지정된 라이트를 4개 이상 받을 경우에

저렇게 'X' 표시가 붙으면서 모빌리티가 무버블로 바뀝니다.


지금 사진에는 4개인데 왜 그러지..? 하실 수도 있는데..

태양광의 역할을 하고 있는 디렉셔널 라이트의 모빌리티가

'스테이셔너리'로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이랍니다!

이렇게 4개까지만 조명을 받을 수 있다는!!




마지막으로는 무버블!


▲ 디테일 패널의 트랜스폼 - 모빌리티의 무버블 설정.



무버블을 말 그대로 움직일 수 있는 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.


특징으로는
① 정적 오브젝트와 동적 오브젝트에 라이트를 비추고 그림자 투영 가능.
(단, 동적 오브젝트에 적용되는 그림자 효과는 해상도가 낮고
정적 오브젝트의 그림자와 같이 가장자리가 부드럽게 상쇄되어 보이는
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)


② 라이트 모빌리티 중 가장 성능을 저하시킴.


③ 물체 표면의 정반사 효과에 직접 기여함으로, PBR Physically Based Rendering : 물리 기반 렌더링  표면을 강조할 수 있음.


④ 라이팅 빌드에 영향을 받지않고 실시간으로 속성과 설정이 가능함.


이렇게 위와 같이 각 라이트 모빌리티마다 특징들이 존재하고 필요한 부분에 모빌리티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됩니다.
블루프린트를 통해서 여닫이, 미닫이 문 등 효과를 준다면 동적 오브젝트이니
무버블을 사용하거나 스테이셔너리를 사용하는 것이 예로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오늘은 기본적인 라이트 모빌리티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: 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