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렉셔널 라이트 & 스카이 라이트 설정
이번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설정 중
GI Global Illumination : 전역 조명 와 관련된 조명들을 다루어보려고 합니다.
일단 디렉셔널 Directional : 지향성의, 방향의 라이트는 태양광으로 작동해 직사광을 제공합니다.
디렉셔널 라이트는 회전 값을 조절하면서 원하는 조명 효과를 찾으면 된답니다.
배치하는 위치는 상관이 없고 오직 회전 값으로 조절하면 됩니다.
▲ 디렉셔널 라이트를 선택 후, 회전 값을 조절해서 원하는 조명 효과를 찾기!
위의 사진과 같이 'Preview' 라는 글씨로 라이팅 빌드가 되기전 미리보기로 그림자 효과를 보여줍니다.
디렉셔널 라이트의 설정을 한 번 알아보고 건축 시각화에 알맞게 조절해 보겠습니다.
디테일 패널에서 보면 여러가지 세팅이 있지만 몇가지만 조절해도 괜찮은 결과를 가져다 주는 것 같습니다.
▲ 디렉셔널 라이트의 디테일 패널.
① 모빌리티는 스테이셔너리 라이트를 사용합니다.
스태틱과 비슷하나 동적으로 계산되어 라이팅 빌드 후에도 색상과 밝기 등의 속성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이죠.
② Intensity는 밝은 햇빛 효과를 보여주기 위해서 8~10 사이의 값을 사용합니다.
그러면 씬에서 태양이 가장 밝을 것입니다. (다른 조명들을 과도하게 밝게 하지 않는 한..)
③ Temperature 값을 변경해주기 위해서는 기존 설정으로 사용하지 않는 Use Temperature를 사용하고,
Temperature 값을 5000~5500 정도로 설정해주면 됩니다.
<참고>
- 해지기 직전: 2200K(촛불의 광색)
- 해뜨고 40분 후: 3000K(연색 개선형 온백색 형광등, 고압 나트륨 램프)
- 해뜨고 2시간 후: 4000K(백색 형광등, 온백색 형광등, 할로겐 램프)
- 정오의 태양: 5800K(냉백색 형광등)
- 흐린 날의 하늘: 7000K(주광색 형광등, 수은 램프)
[네이버 지식백과] 색온도 [color temperature, 色溫度] (색채용어사전, 2007., 도서출판 예림)
조명 색온도는 찾아보면 많이 나오기도 한답니다 :)
④ Indirect Lighting Intensity는 스테이셔너리 라이트의 강도를 변경 할 수 있기 때문에
라이트매스에 이 라이트가 얼마의 밝기로 계산이 되어야 하는지 알려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.
그러므로 Intensity의 값과 같은 값이나 비슷하게 설정해주면 됩니다.
⑤ Atmosphere Sun Light 옵션은 기존 설정으로 선택되어 있지 않으나 사용합니다.
그러면 씬의 환경 색상을 제공하여 하늘을 생성하게 됩니다.
이번에는 디렉셔널 라이트까지 알아보고, 다음번에는 스카이 라이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
: )